마라도 고양이 100여마리 '섬 밖 강제 이주'

포인트뉴스 편집 | 발행: 2023년 02월 28일
[포인트뉴스] = 제주 서귀포시 마라도에 살고 있는 고양이들이 섬 밖으로 강제 이주된다.

k755.jpg


제주도세계유산본부 등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마라도의 고양이들을 마라도 밖으로 반출한다.

앞서 문화재청과 세계유산본부, 서귀포시 등 관계기관은 이 같이 결정했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기준 마라도에 있는 고양이는 110여 마리로 추산된다. 고양이는 10여년 전 주민들이 쥐를 잡으려고 섬에 들여왔는데, 이후 개체 수가 크게 늘면서 뿔쇠오리 등 야생 조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관계당국의 판단이다.

이에 따라 주민들이 반려묘로 키우는 10여마리만만 남겨놓고, 나머지 고양이들은 모두 포획해 섬 밖으로 내보내기로 했다.

다만 마라도 밖으로 반출한 고양이들을 위한 보호소를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반출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그러나 동물보호단체에서는 이번 결정에 강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뿔쇠오리 보호 조치 필요성은 공감하나, 이의 개체수 감소에 고양이가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가 명확하지 않은데다 반출하는 고양이의 안전한 보호방안이 제시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동물자유연대 등이 참여하는 '철새와 고양이 보호대책 촉구 전국행동'은 "문화재청은 고양이가 뿔쇠오리의 개체수 감소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 채 밀어붙이기식으로 반출을 강행하고 있다"며 ""게다가 표면적으로는 마라도에서 고양이를 반출한 후 가정 입양과 안전한 보호를 약속하겠다고 말하지만, 이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안은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국립환경과학원 등의 발표자료 등을 근거로 들며 "뿔쇠오리는 고양이가 접근하기 어려운 해상에서 살며 절벽 틈 사이에 알을 낳고 부화하기 때문에 고양이보다는 까치, 매, 쥐 등의 공격에 더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는 주장이 더 설득력있다"고 주장했다.

즉 뿔쇠오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고양이보다는 다른 조류나 쥐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뒤로가기
목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