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뉴스] = 성인 남성과 고령인이 마트에서 식품을 고를 때 ‘영양 표시’를 확인하면 뇌졸중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양 표시’를 확인한 뒤 식품을 택하는 남성과 70세 이상 고령인의 뇌졸중 유병률은 영양 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남성ㆍ고령인의 각각 3분의 1과 4분의 1 수준이었다.
정재민 여수전남병원 가정의학과 전문의 연구팀이 2015∼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40세 이상 1만8,129명을 대상으로 가공식품 등 식품 구매 시 라벨의 ‘영양 표시’ 확인과 활용 상태와 뇌졸중 발생 위험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다.
연구 결과(한국 성인에서 영양 표시 영향력과 뇌졸중 유병률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 2015∼2019년도 자료)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를 영양 표시를 알지 못하는 그룹, 알지만 사용하지 않는 그룹, 사용하지만 식품 구매 시 반영하지 않는 그룹, 반영하는 그룹 등 총 4개 그룹으로 분류했다.
성인 3명 중 1명은 영양 표시를 알지 못했다. 영양 표시는 알지만 이를 사용하지 않는 비율도 전체의 45%에 달했다. 영양 표시 정보를 실제 식품 구매에 반영하는 비율은 전체의 17%였다.
영양 표시 반영 그룹의 비율은 젊을수록 높았다. 40대는 30.2%로, 70대 이상(4.0%)보다 7배 이상이었다.
여성ㆍ고소득ㆍ고학력자일수록 식품 구매 시 영양 표시 반영 비율이 높았다. 직업별 영양 표시 반영 비율은 사무직ㆍ무직ㆍ노무직 순이었다.
식품을 살 때 영양 표시를 반영하는 남성의 뇌졸중 유병률은 영양 표시를 모르는 남성보다 61% 낮았다. 여성에선 이런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70세 이상의 고령인에게선 식품 구매 시 영양 표시를 반영하는 그룹의 뇌졸중 유병률은 영양 표시를 알지 못하는 고령인보다 72%나 낮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가공식품에 영양 성분을 표시함으로써 제품이 가진 영양적 특성을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건강에 적합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게 돕는 영양표시제도를 1994년 처음 도입했다. 현재 11개 식품에 대해 열량ㆍ탄수화물ㆍ단백질ㆍ포화지방ㆍ트랜스지방ㆍ콜레스테롤ㆍ나트륨 등 영양 성분을 표시하고 있다.